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wpf
- Binary
- Contour
- public
- file access
- parameter
- Gaussian
- SERIAL
- UNO
- c++
- subpixel
- Pointer
- Unity
- Android
- sensor
- aduino
- atmega328
- digitalRead
- Class
- Filtering
- stream
- Gradient
- APP
- memory
- flutter
- compare
- Read
- mfc
- edge
- Encapusulation
- Today
- Total
목록Binary (8)
폴크(FOLC)
치수를 측정하는 소프트웨어는 반도체 공정 등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일반적으로 엣지 검출, 바이너리 마스크 처리, 프로파일 분석 등이 있다.목적- 이미지에서 관심 영역(ROI)을 지정한 후- 경계(edge)를 검출하여- 임계 치수를 측정(Critical Dimension, CD)하는 간단한 알고리즘 예제#include #include using namespace cv; using namespace std; // 임계 치수 측정 함수 double measureCD(const Mat& binary) { vector> contours; findContours(binary, contours, RETR_EXTERNAL, CHAIN_APPROX_SIMPLE); if (contours..

# 파일 종류 > text file : 문자열의 모임으로 바로 확인 가능 ( TxT 뷰어 이용 ) > binary file : 0, 1의 이진 형식으로 바로 확인 불가능 ( 별도 뷰어 필요 ) # 파일은 stream(임시 메모리 공간)를 통해서 접근 > InputStream / PrintStream ( 파일 연동 ) > setin / setout 으로 사용자 데이터 송신, 수신 # 파일 연동 > HDD 에 저장되는 정보, 연속적인 byte 의 모임 > 메소드 이용 - canRead() : 파일을 읽을 수 있는 파일인지 확인 - canWrite() : 파일이 쓸수 있는 파일인지 확인 - exists() : 파일이 존재하는지 확인 # 예제 소스 public static main(String [] args) ..

# 파일 종류 > text file : 문자열의 모임으로 바로 확인 가능 ( TxT 뷰어 이용 ) > binary file : 0, 1의 이진 형식으로 바로 확인 불가능 ( 별도 뷰어 필요 ) # 파일은 stream(임시 메모리 공간)를 통해서 접근 > ifstream / ofstream ( 파일 연결 ) - ifstream ifs; ios_base::in 이 기본값 ( 읽기 상태 ) - ofstream ofs; ios_base::out | ios_base::trunc 이 기본값 ( 쓰기 상태 ) > cin / cout 으로 사용자 데이터 송신, 수신 - ifs >> buf : 한 문자를 읽어 buf 에 연동 - getline(buf, 100) : 한 줄을 읽어 buf 에 연동 # 파일 연동 > HDD ..

# 파일 종류 > text file : 문자열의 모임으로 바로 확인 가능 ( TxT 뷰어 이용 ) > binary file : 0, 1의 이진 형식으로 바로 확인 불가능 ( 별도 뷰어 필요 ) # 파일은 buffer (임시 메모리 공간)를 통해서 접근 > fully buffered ( 파일 연동 ) : 버퍼에 데이터를 더 이상 담지 못할때 보내는 방식 > line buffered ( 키보드 연동 ) : 버퍼에 데이터를 담고 개행 문자(\n) 가 담겼을때 보내는 방식 > buffer clear : fflush 명령어를 이용해서 버퍼 내용 삭제 - int fflush(FILE *stream); - 출력 스트림과 연결, NULL 포인터를 연결하면 내용을 삭제 - 정상 : 0, 실패 : EOF # 파일 연동 >..

# MFC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HDD 에 존재하는 파일 ( binary format ) 제어 > Save, Load 형태 - Map 형태 이용 > exe 파일 위치에 test.dat 파일 생성 # 소스 코드 m_pdbBinary = new CDataBaseBinary; bool CBINFormHelper::FileLoad() { CFile file; CFileException fe; if (file.Open(m_strFilePath, CFile::modeRead, &fe) == FALSE) { return false; } CArchiveUserDefine ar(&file, CArchive::load); BOOL bReturn = FALSE; if (m_pdbBinary) { delete m_pdbBina..

# WPF 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HDD 에 존재하는 파일 ( binary format ) 제어 > Save, Load 형태 - List 형태 이용 > exe 파일 위치에 test.dat 파일 생성 # 소스 코드 using System.Runtime.Serialization.Formatters.Binary; public class BINformat { [Serializable] struct Data { public string key; public string value; public Data(string _key, string _value) { key= _key; value= _value; } } public void WriteReadTest() { string path = System.Reflectio..

# 디지털 이미지 처리 # 이미지의 상태 변경이 가능하다. > 이진화, 거리, 적분, 채우기 등에 대한 처리 # 이미지 처리 - OpenCV 4.5.3 으로 테스트 # 이미지의 상태 정보를 이용해서 데이터를 변형 > srcImage : 입력, dstImage : 결과, thresh: 경계값, max_val : 최대값(대체값), type : 이진화 방법 > adaptiveMethod : 평균 , C : 옵셋, seedPoint : 기준위치, scale : 배율 # Cv2.Threshold > 이미지의 상태 변경 - 경계값을 직접 정의하여 이진화 > double thresh = 128.0, max_val = 255.0; > ThresholdTypes type = ThresholdTypes.Binary; > ..

# 디지털 이미지 처리 # 이미지의 상태 변경이 가능하다. > 이진화, 거리, 적분, 채우기 등에 대한 처리 # 이미지 처리 - OpenCV 4.5.3 으로 테스트 # 이미지의 상태 정보를 이용해서 데이터를 변형 > srcImage : 입력, dstImage : 결과, thresh: 경계값, max_val : 최대값(대체값), type : 이진화 방법 > adaptiveMethod : 평균 , C : 옵셋, seedPoint : 기준위치, scale : 배율 # cv::threshold > 이미지의 상태 변경 - 경계값을 직접 정의하여 이진화 > double thresh = 128.0, max_val = 255.0; > int type = cv::THRESH_BINARY; > cv::thresho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