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mfc
- file access
- memory
- Android
- c++
- Barcode
- stream
- SERIAL
- Unity
- APP
- length
- Contour
- Read
- digitalRead
- preprocessing
- compare
- inheritance
- 3D
- Class
- Encapusulation
- parameter
- java
- atmega328
- aduino
- sensor
- UNO
- flutter
- public
- Pointer
- wpf
- Today
- Total
목록교육 관련 (54)
폴크(FOLC)
GLUT란 무엇인가?GLUT는 OpenGL 프로그램을 쉽게 작성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툴킷 라이브러리입니다."OpenGL은 3D 그래픽스 그리기만 담당"합니다.그런데 OpenGL 자체는 윈도우 생성이나 키보드, 마우스 입력, 타이머 이벤트를 관리하는 기능이 없습니다.이 불편함을 해결해주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 GLUT입니다.핵심 역할 요약기능설명윈도우 생성 및 관리윈도우 생성, 크기 설정, 닫기 이벤트 처리입력 이벤트 처리키보드 입력, 마우스 클릭, 마우스 이동렌더링 루프 관리화면 갱신을 위한 main loop기본적인 메뉴 기능마우스 우클릭 메뉴 생성 가능GLUT의 기본 구조GLUT를 사용하는 프로그램은 딱 4단계 구조를 가집니다.초기화윈도우 생성콜백 함수 등록 (Display, Keyboard, Mous..

후보: Feature Matching + RANSAC + 서브픽셀 정합구성:특징점 추출: SIFT 또는 SuperPoint 등 (정밀도 좋음)정합 필터링: FLANN + RANSAC으로 잘못된 매칭 제거정밀 위치 추정: 서브픽셀 정렬 (Sub-pixel refinement)(선택) 이미지 정합 후 위치 보정 (Homography로 변환 모델 추정)장점:회전/스케일/조명 변화/노이즈에 매우 강함정확한 위치 정합 가능수 μm 단위의 정밀 정합도 가능 (산업/과학 영상에서도 활용)후보: Deep Learning 기반 - Siamese Network / Object Detection장점:특징점 없이 복잡한 패턴도 학습을 통해 정합회전/스케일/노이즈/왜곡에 매우 강함정합 유무 뿐 아니라 존재 확률, 위치 추정까지..

# 접근 제어자 > 정보의 은닉을 위해서 이용, 최소한의 정보만으로 클래스를 운용 > 총 4가지 ( private, public, protected, default ) - private : 클래스 멤버는 외부로 공개되지 않음. ( 외부 접근 불가 ) - public : 클래스 멤버는 외부로 공개 됨 ( 외부 접근 가능 ) - protected : 상속받은 클래스 멤버는 접근 가능, 같은 패키지 접근 가능 ( 외부 접근 불가 ) - default : 같은 패키지에 속하는 멤버에서만 접근 가능 ( 기본값 ) > 접근 범위 - public > protected > default > private 순서 # 기타 제어자 > 특징 - 클래스에 final 과 abstract 를 같이 쓸 수 없다. - 메소드에 sta..

# 정적 멤버 ( static ) > 클래스에 존재하지만 객체별로 생성하지 않고 객체들이 공유하는 멤버 > 1개만 관리 > 접근 가능 ( 클래스 멤버 함수 / 프렌드 ) > 모두 접근 가능 ( 정적 멤버를 public 으로 처리 ) > 초기화는 클래스명::정적멤버 # 정적 멤버 함수 > 객체를 생성하지 않고도 클래스 명으로 호출 가능 ( 클래스명.정적멤버함수 ) > 객체를 생성하지 않으므로 this 포인터가 없다. > 정적 멤버 변수만 사용 가능 # 상수 멤버 ( const ) > 한 번 초기화 하면 그 값을 변경하지 못하는 변수 > const 키워드 이용 ( 처음에 ) > 클래스 전체에서 이용하는 중요한 상수 # 상수 멤버 함수 > 호출된 객체의 데이터를 변경할 수 없는 함수 > const 키워드 이용..

# 재귀 호출 > 함수 내부에서 동일한 함수를 다시 호출하는 것 - 자기가 자신을 계속해서 호출하는 방식 ( 중단문 필요! ) > 알고리즘이나 자료구조에서 많이 이용# 주의 사항 > 조건문이 없거나 무한정으로 함수가 호출되면 stack 의 공간이 부족하여 crash# 소스 코드 > 1 ~ N 까지의 합int RecursiveCallFunction(int val){ if(val == 1) return val; return val + RecursiveCallFunction(val - 1);} # 패키지 > 하나의 디렉토리를 의미 ( 관련 클래스나 인터페이스 파일 들을 모두 포함 ) > 다른 패키지를 포함할 수 있고 디렉토리 계층 구조는 (.)점으로 구분 > ..

# 특정 클래스의 멤버 변수(private, protected) 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public 함수를 통해서 가능 > 수많은 멤버 변수를 접근하기 위해서 public 함수를 생성하기에는 무리 > 모든 멤버 변수를 직접 접근하기 위해서 friend 키워드 이용 ( 함수, 클래스 ) # 필요 > 멤버 함수를 호출하거나 멤버 변수에 직접 접근해야 하는 상황 - 연산자 재정의 과정에서 자주 발생 # 프렌드 함수 > friend 키워드를 이용하여 선언 ( 클래스 멤버 X ) - friend return_value functionName(XXXX XXXX); > 멤버 변수에 직접 접근 가능 # 프랜드 멤버 함수 > friend 키워드를 이용하여 선언 ( 클래스 멤버 X ) - friend return_value..

# 오버로딩 ( overloading ) > 함수의 이름을 동일(중복)하게 정의 하는것 ( 객체지향 - 다형성 ) > 함수의 이름은 1개만 선언 가능하지만 시그니처가 다르면 가능 - 시그니처 : 함수 선언부에 명시되어 있는 매개변수 리스트 -> 함수 이름의 종류를 최소화 하여 생성 가능 -> 함수 호출시에 매개변수나 타입을 신경쓰지 않고 호출 가능 # 조건 > 함수 이름이 같아야 한다. > 매개변수 개수와 타입이 달라야 한다. - 반환 타입이 다르더라도 시그니처가 같다면 정의 할 수 없다. # 소스 코드 # include class TEST { public: void SUM(int a, int b) { return (a + b); } float SUM(float a, float b) { return (a..

# 오버로딩 ( overloading ) > 함수의 이름을 동일(중복)하게 정의 하는것 ( 객체지향 - 다형성 ) > 함수의 이름은 1개만 선언 가능하지만 시그니처가 다르면 가능 - 시그니처 : 함수 선언부에 명시되어 있는 매개변수 리스트 -> 함수 이름의 종류를 최소화 하여 생성 가능 -> 함수 호출시에 매개변수나 타입을 신경쓰지 않고 호출 가능 # 조건 > 함수 이름이 같아야 한다. > 매개변수 개수와 타입이 달라야 한다. - 반환 타입이 다르더라도 시그니처가 같다면 정의 할 수 없다. # 소스 코드 public class TEST { public int SUM(int a, int b) { return (a + b); } public float SUM(float a, float b) { return ..

# 생성자 ( constructor ) # 동적 할당으로 객체를 생성하게 되면 독립된 메모리 공간에서 data를 관리 > 객체 내부에 존재하는 data 들에 대한 초기화를 별도로 진행하지 않으면 자동 초기화 수행 - 0 또는 null, false > 외부에서 일반적인 초기화 과정을 진행하지 못함 - 내부 data 에 접근하지 못하는 (private) 경우 때문에 -> 필요 : 객체 생성 후 필드를 초기화 하기 위한 접근 가능한 public 함수 > 객체의 생성과 동시에 data 초기화 해주는 함수 : constructor > 객체의 이름과 동일하며 () 함수 형태를 갖는다. # 특징 > 매개변수를 전달해서 초기화 진행 가능 - 필드 자체적으로 초기화 진행 가능 ( default constructor ) ..

# 메소드(행동)와 필드(상태)를 포함한 확장된 구조체 형태 > 객체 지향 개념의 중심 ( 행동과 상태 ) > 사용자 정의 타입 ( class 키워드 이용 ) > 추상화, 갭슐화, 은닉화, 상속성, 다형성 등의 특징을 갖음 > 객체 : 사용자 정의 타입을 설계해 놓은 상태 ( 선언 하지 않은 상태 ) > 인스턴스 : 사용자 정의 타입의 객체를 선언하여 메모리에 올려놓은 상태 - 메모리에 독립된 공간에서 관리됨 # 접근 제어 지시자 > private : 해당 객체 내에서만 접근 가능한 변수 / 함수 > protected : 해당 객체를 상속한 하위(파생) 클래스에서만 접근 가능한 변수 / 함수 > public : 모든 객체에서 접근 가능한 변수 / 함수 # 기본 형태 접근 제어 지시자 class 객체이름 ..

# 객체의 수명이 끝나는 시점에 컴파일러에 의해 자동으로 호출되는 함수 > 객체의 이름과 동일한 함수명으로 앞에 물결(tilt : ~ ) 를 붙여서 표기 # 특징 > 매개변수를 가지지 않는다. > 반환값이 없지만 void 로 선언하지 않는다. > 소멸자는 무조건 1개만 정의 할 수 있다. > const, volatile. static 으로 정의 할 수 없다. # 호출 > 프로그램 종료 : 데이터 영역에서 객체가 삭제되는 상황 > 함수의 블록/임시 블록 종료 : 스택 영역에서 객체가 삭제되는 상황 > delete 키워드 : 힙 영역에서 객체가 삭제되는 상황 # 소스 코드 TEST1::TEST1() { } TEST1::~TEST1() { // 소멸자 } int main(void) { TEST1 *pTTT1 ..

# 기본 생성자 ( default constructor ) > 초기값을 설정하는 매개변수가 없다. > 매개변수가 없는 상태에서 0 또는 NULL, 그리고 _T("") 등으로 초기값 설정 > 객체 생성시 초기값을 명시하지 않으면 컴파일러가 자동적으로 초기값 설정 # 특징 > 생성자가 정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만 컴파일러가 자동으로 제공 > 초기값을 설정하지 않은 상태로 객체를 생성하려면 기본 생성자를 직접 정의 > 생성자를 1개 이상 정의 하려면 함수 오버로딩 기법을 이용하여 정의 # 정의 방법 > 함수 오버로딩 방법 : 생성자에 매개변수 개수와 자료형을 중복되지 않게 정의 > 디폴트 인수 방법 : 모든 매개변수에 초기값을 명시하여 정의 # 소스 코드 TEST1::TEST1() { } TEST1::TEST..

# 생성자 ( constructor ) # 동적 할당으로 객체를 생성하게 되면 독립된 메모리 공간에서 data를 관리 > 객체 내부에 존재하는 data 들에 대한 초기화를 수행하기 전에는 사용 불가 > 외부에서 일반적인 초기화 과정을 진행하지 못함 - 내부 data 에 접근하지 못하는 (private) 경우 때문에 -> 필요 : 객체 생성 후 사용하기 직전까지 멤버를 초기화 하기 위한 접근 가능한 public 함수 > 객체의 생성과 동시에 data 초기화 해주는 함수 : constructor > 객체의 이름과 동일하며 () 함수 형태를 갖는다. > 접근 지정 제어자를 public 로 설정 # 특징 > 매개변수를 전달해서 초기화 진행 가능 > 여러개의 생성자 함수 오버로딩 처리하여 초기화 진행 가능 > 반..

# 함수와 변수를 포함한 확장된 구조체 형태 ( C 언어의 구조체의 확장 개념 ) > 사용자 정의 타입 ( class 키워드 이용 ) > 객체 지향 개념의 중심 ( 상태와 행동 ) > 추상화, 갭슐화, 은닉화, 상속성, 다형성 등의 특징을 갖음 > 객체 : 사용자 정의 타입을 설계해 놓은 상태 ( 선언 하지 않은 상태 ) > 인스턴스 : 사용자 정의 타입의 객체를 선언하여 메모리에 올려놓은 상태 - 메모리에 독립된 공간에서 관리됨 # 기본 형태 class 객체 이름 { 접근 제어 지시자( private, protected, public) : 변수 - int AAA; 함수 원형 - int BBB(int CCC); 접근 제어 지시자( private, protected, public) : 함수 원형 - voi..

# 기본 기능 > 클래스 내부에서 호출된다. > 클래스 외부에서도 호출이 가능하다. > 함수의 이름이 곳 포인터가 된다. ( 시작 주소 ) # 함수 디폴트 파라미터 > 함수에 파라미터를 전달하는 기본값을 설정 ( Varargs, ... 등 이용) > 우선 순위 위치 순서대로만 지정할 수 있다. ( 우->좌 ) # 함수 오버로딩 ( 다형성 ) > 함수 이름은 동일하고 파라미터 개수와 리턴값이 다름 ( 시그니처 ) # 함수 오버라이딩 ( 다형성 - 상속 관련 ) > 함수 이름과 파라미터 개수와 리턴값이 같음 ( 재정의 ) > 부모의 함수와 동일한 이름을 갖는 함수이지만 내용이 다름 # 예제 소스 class TEST_Car { private String _Name; private int _Year; TEST_..

# 파일 종류 > text file : 문자열의 모임으로 바로 확인 가능 ( TxT 뷰어 이용 ) > binary file : 0, 1의 이진 형식으로 바로 확인 불가능 ( 별도 뷰어 필요 ) # 파일은 stream(임시 메모리 공간)를 통해서 접근 > InputStream / PrintStream ( 파일 연동 ) > setin / setout 으로 사용자 데이터 송신, 수신 # 파일 연동 > HDD 에 저장되는 정보, 연속적인 byte 의 모임 > 메소드 이용 - canRead() : 파일을 읽을 수 있는 파일인지 확인 - canWrite() : 파일이 쓸수 있는 파일인지 확인 - exists() : 파일이 존재하는지 확인 # 예제 소스 public static main(String [] args) ..

# 입력과 출력 > 스트림 ( stream ) : 실제 입/출력으로 데이터의 흐름 ( 운영체에와의 약속 ) - 입력 스트림 : InputStream, 출력 스트림 : OutputStream # 문자 입력 > read : 입력 스트림으로 BYTE 입력, 파일도 가능 > 더이상 스트림에 데이터가 없는 경우에는 -1 을 반환 # 문자 출력 > write : 출력 스트림으로 BYTE 출력, 파일도 가능 # 파일 연동 > RandomAccessFile 또는 File 을 이용하여 파일의 데이터 연동 가능 > 'r' : 읽기 전용, 'rw' : 읽고 쓰기 > getFilePointer() 로 현재 파일 위치를 확인 > seek() 로 파일 위치 변경 가능 # 문자열 > 연속된 문자들의 모임, 배열과 연관이 깊음 > ..

# JAVA 프로그램은 JVM(가상머신)을 통해서 실행 > JVM 은 운영체제(OS) 에게 프로그램을 수행하기 위해서 메모리 공간을 할당 받는다. > 메소드 영역 : 클래스와 변수들이 저장되는 공간 - .class 파일을 load 해서 관련 정보를 갖고 있는다. > 스택 영역 : 메소드들의 스택 프레임이 저장되는 공간 - 메소드가 호출되는 시점에 지역 변수와 매개 변수의 정보를 갖고 있는다. - 푸시로 데이터를 쌓고 팝으로 데이터를 꺼내온다. ( 후입선출 - LIFO ) > 힙 영역 : 인스턴스 변수가 저장되는 공간 ( 생성/삭제 ) - new 키워드를 이용해서 확보됨. # 메모리 할당 > User 에 의해서 힙 영역에 특정 공간을 관리하기 위한 요청이 발생 > new 명령어를 이용해서 할당 받고 del..

# Pointer 의 개념이 없다. 하지만, 주소 또는 참조의 개념은 있다. > '*' 문자를 사용하지 않음. > 람다식을 이용 # 널 ( null ) > 모든 상태의 기본값 > 아무것도 가르키지 않는 상태값 ( 값이 없는 상태 ) > 정의 되지 않은 상태 ( 초기화 되지 않은 상태 ) # 값에 의한 전달 ( call by value ) > 클래스가 아닌 자료형 > 전달하는 변수의 값을 호출되는 함수의 매개변수에 복사(copy) > 메모리 영역이 공유되지 않음. # 참조에 의한 전달 ( call by reference ) > 클래스 > 전달하는 변수를 호출되는 함수의 매개변수에 주소 복사(memory address) > 메모리 영역이 공유

# 배열 # 같은 타입(자료형)의 변수들의 모임 > 1차원 ~ N차원 까지 사용 가능 ( 메모리를 넘지 않는 상황 ) > 보통 1차원 ~ 2차원 까지를 가장 많이 이용 # 특징 > 배열을 선언할때 길이는 상수 이어야 한다. > 첫번째 번호는 0번 부터 시작 > 컴파일러는 배열의 길이가 아닌 배열의 주소값을 이용하여 접근한다. > 배열 초기화 시점에 {} 중괄호 를 이용해서 초기화 가능 # N차원 배열 > 2차원 이상의 배열 > 배열의 각 요소가 배열이 될 수 있다. # 1차원 배열 > 구조1 : 자료형[] 이름 = new 자료형[ 길이 ]; - 생성될때 초기화 하지 않았으므로 주의해서 사용 > 구조2 : 자료형[] 이름 = new 자료형[ ] = { 요소1, 요소2, ... }; - 자료형과 요소의 타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