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sensor
- Encapusulation
- Contour
- preprocessing
- file access
- public
- digitalRead
- length
- memory
- compare
- aduino
- wpf
- SERIAL
- Class
- parameter
- c++
- UNO
- Pointer
- Android
- java
- flutter
- Unity
- atmega328
- 3D
- Read
- mfc
- stream
- APP
- inheritance
- Barcode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321)
폴크(FOLC)

오픈 그래픽 라이브러리는 1992년 실리콘 그래픽스사에서 만든 2차원 및 3차원 그래픽스 표준 API 규격으로, 프로그래밍 언어 간 플랫폼 간의 교차 응용 프로그래밍을 지원한다. 약 250여개 가량의 함수 호출을 이용하여 단순한 기하도형에서부터 복잡한 삼차원 장면을 생성할 수 있다. CAD, 가상현실, 정보시각화, 비행 시뮬레이션 등의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고 컴퓨터 게임 분야, 컴퓨터 그래픽 세계를 양분하고 있다. 특히, 표준안이 여러 관련 업체의 토론과 제안으로 이루어지기에 버전 업데이트는 느린 편이지만, OpenGL을 사용하여 개발된 대표적인 게임은 이드 소프트웨어의 퀘이크, 둠3 시리즈이다. 현재 비영리 기술 컨소시엄인 크로노스 그룹에 의하여 관리되고 있다.

게임 프로그래밍에서 마이크로소프트 플랫폼에서 작업을 위한 API의 집합으로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세가, 드림캐스트, 마이크로소프트 엑스박스 및 엑스박스 360을 위한 비디오 게임 개발에 널리 쓰인다. 다이렉트엑스는 또한 게임뿐 아니라 3차원 그래픽 하드웨어를 사용하여 높은 품질의 3차원 그래픽을 빠르게 렌더링할 수 있기 때문에 소프트웨어 업계 전반에서 사용되기도 한다. 다이렉트엑스 런타임과 소프트웨어 개발킷은 무료이지만 개조는 할 수 없는 클로즈드 소스(오픈 소스의 반대 개념) 소프트웨어이다. 다이렉트엑스 런타임은 원래 컴퓨터 게임 개발자들에게만 공개되었으나, 최근에는 기본적으로 윈도우에 포함되어 있다.

윈도우 프레젠테이션 파운데이션(Windows Presentation Foundation)은 윈도우 기반 응용프로그램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MS에서 만든 Graphic System이다. 처음에는 닷넷 프레임워크 3.0의 일부분으로 Avalon 이라고 불렸으며, DirectX를 사용한다. 특히,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비즈니스 로직을 분리해준다. 다양한 인터페이스 요소들을 정의하고 연결하기 위해 XAML(XML 기반) 언어를 사용하고 데스크탑에서 단독으로 실행될 수도 있고 웹사이트에 내장된 객체로 서비스될 수도 있다. 2D/3D 렌더링, 고정 및 가변 문서, 타이포그래피, 벡터 그래픽스, 실시간 애니메이션, 프리렌더링 미디어와 같은 여러가지 보편적인 UI를 통합 하여 다양한 이벤트, 사..

윈도우 폼(Windows Forms, WinForms)은 윈도우 API를 관리 코드로 래핑(wrapping)함으로써 MS Window Interface 요소로의 접근성을 제공하는 MS .NETFramework의 API를 의미한다. C++ 기반의 MFC를 향상시킨 내용이지만 모델-뷰-컨트롤러와 상응하는 패러다임을 제공하지는 않는다. 대신,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세스 응용 프로그램 블록을 제공한다.

마이크로소프트에서 개발한 닷넷 프레임워크의 한 부분으로 만들어졌으며, .NETFramework를 개발하던 시절 클래스 라이브러리는 SMC(Simple Managed C)라 불리는 관리 코드(managed code)를 사용했었다. 1999년 1월, 아네르스 하일스베르가 이끄는 팀이 새로운 언어인 Cool(C-like Object Oriented Language)을 개발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언어의 최종 이름을 Cool로 유지할지도 고려해봤지만 상표 문제로 인해 이뤄지지 않았다. 2000년 7월 PDC에서 닷넷 프로젝트가 발표될 때 즈음 Cool의 이름은 C#으로 정해졌고 클래스 라이브러리와 ASP.NET 런타임은 C#으로 옮겨갔다. C#은 ISO 소위원회 JTC 1/SC 22에 ISO/IEC 23270:2..

1. 프로그램 구조 # main() 가 반드시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 # main() 을 진입하면서 프로그램이 시작하고 빠져나오면서 종료한다. 2. 변수 선언 및 종류 # 정수형, 실수형, 문자형으로 나뉜다. ㄱ. 정수형 # short - 부호 있는 2바이트 # int - 부호 있는 4바이트 정수(16비트 운영체제에선 int는 2바이트) # long - int와 같은 부호있는 4바이트 정수 # long long int - 부호 있는 8바이트 정수 ㄴ. 실수형 # float - 부호 있는 4바이트 (부동소수점 자료형) # double - 부호 있는 8바이트 (부동소수점 자료형 - float 의 2배) ㄷ. 문자형 # char - 부호 있는 1바이트 (문자를 담을수 있는 자료형) *** 부호없는 정수를 선언..

-. Refactoring # 각 class 별 기능을 명확하게 구분하고 상관 관계를 확인한다. -. 패턴 그리고 객체 지향적 코딩의 법칙 # class 운영 방식에 대해서 알아보고 디자인 패턴을 적용 시켜서 application 을 구성한다. -. Head First - Design Patterns # 가장 인기 있고 많이 사용하는 패턴을 알아본다. -. 모던 C++ 디자인 패턴 # SOLID 디자인 원칙 및 다양한 패턴을 알아본다.
1. 프로그램 구조 # main() 가 반드시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 # main() 을 진입하면서 프로그램이 시작하고 빠져나오면서 종료한다. 2. 변수 선언 및 종류 # 정수형, 실수형, 문자형으로 나뉜다. ㄱ. 정수형 # short - 부호 있는 2바이트 # int - 부호 있는 4바이트 정수(16비트 운영체제에선 int는 2바이트) # long - int와 같은 부호있는 4바이트 정수 # long long int - 부호 있는 8바이트 정수 ㄴ. 실수형 # float - 부호 있는 4바이트 (부동소수점 자료형) # double - 부호 있는 8바이트 (부동소수점 자료형 - float 의 2배) ㄷ. 문자형 # char - 부호 있는 1바이트 (문자를 담을수 있는 자료형) *** 부호없는 정수를 선언..

MFC(Microsoft Foundation Class Library)는 C++용 프로그램 라이브러리이다. 윈도용 응용 프로그램의 통합 개발 환경인 마이크로소프트 비주얼 C++에 부속되는 클래스 라이브러리이다. Visual Studio 5.0 ~ Visual Studio 19 까지 지속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1. Visual Studio 97 (5.0) 2. Visual Studio 6.0 3. Visual Studio.Net (2002) (7.0) 4. Visual Studio.Net 2003 (7.1) 5. Visual Studio 2005 (8.0) 6. Visual Studio 2008 (9.0) 7. Visual Studio 2010 (10.0) 8. Visual Studio 2012 (11.0..

비야네 스트롭스트룹(덴마크)은 1979년도에 C 컴파일러에 클래스, 상속 클래스, 스트롱 타이핑, 인라인 확장, 기본 인수를 포함한 여러 기능들을 추가한 “C with Classes” 를 만들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가상 함수, 함수 이름, 연산자 오버로딩, 참조, 제약조건, 메모리 할당 (new/delete), 개선된 자료형 검사 및 1줄 코멘트(//)를 포함한 새로운 기능들을 추가하면서 1983년에 “C++”로 변경하였다. C++ 프로그래밍 언어는 공식적으로 표준 문서가 없던 (1985년) 시기에 발표되면서 기준 문서가 되어 버렸다. C++ 프로그래밍 언어의 공식적인 표준 문서가 정해지기 시작하였다. 연도C++ 표준비공식 명칭1998년2003년2007년2011년2014년2017년2020년 ISO/IEC..